이게 그래도 내가 처음으로 본 오페라 공연인데, 늦었지만 흔적을 남겨둬야지.
사실은 지난주에 본 투란도트가 이탈리아 산카를로 국립극장 초청이라고 하기에 나비부인도 이탈리아 어느 극장이라고 했던데 하는 생각에 다시 찾아보게 되었다. 뭐 결과는 전혀 비슷하지도 않은 뜨리에스떼 베르디 라는 극장이지만^^
주말에 현하와 같이 본 공연이었는데, 지금은 나 혼자 평일에 공연을 보는 것이 좋지만, 뭐든 처음이 힘든 법이라 그때만 해도 공연 예매를 할까말까 얼마나 망설였던지.. 공연을 보려면 남편이 작은아이를 봐줘야하는데 그걸 부탁하기가 그리 힘들었던지.. 몇 번 하고나니 이젠 아무렇지도 않게(^^) 부탁을 하게 되네. 남편이 이 블로그를 볼 일은 없겠지만 암튼 감사 감사~~
------
공연장에서 처음 본 오페라였는데, 그때의 느낌을 지금 기억나는대로 적어보자면..
그 큰 세종문화회관에서 그것도 저 뒤쪽 3층인가 4층인가 무대위의 사람들 얼굴도 안보이는 곳에서 보았는데, 공연 내내 저 사람들이 진짜 마이크도 없이 생 목소리로 노래하는데 이렇게 생생히 들린다는 말인가 하는 믿기 어려운 사실이었다. 아무리 봐도 마이크를 어딘가 숨겨둔 것 같지도 않고, 그렇다고 공연장 어디에도 스피커가 보이지도 않고.. 신선한 충격이었다.
하지만, 그 공연 이후 오페라 나비부인은 이상하게 CD도 잘 듣지 않게 된다는 사실. 스토리도 맘에 안들고 ...
--------------------------------------------------------------------------------------------------------------------
이탈리아 뜨리에스떼 베르디 극장 내한공연
푸치니의 오페라 <나비부인>, 3월 12일(목) ~15일(일)
- 이탈리아 4대 명문극장, 뜨리에스떼 베르디 극장의 오페라 프로덕션 내한
- 세종문화회관과 뜨리에스떼 베르디극장의 역사적인 오페라 문화교류, 그 두 번째 무대
- 푸치니가 사랑한 지고지순한 여인, 그녀가 부르는 애절한 아리아
서울시오페라단, 오페라 종주국인 이탈리아에 역수출
유럽과 아시아간의 오페라 문화교류의 장을 열다.
■ 이탈리아 <나비부인> 출연진
◊ 지 휘_ Lorenzo Fratini
◊ 연 출_ Giulio Ciabatti
◊ 나비부인(Sop.)_ Raffaella Angeletti, Mina Yamazaki
◊ 핑 커 톤(Ten.)_ Mario Malagnini, Roberto De Biasio
◊ 스 즈 키(M.Sop)_ Renata Lamanda
◊ 샤플레스(Bar.)_ Paolo Rumetz
◊ 야마도리(Bar.)_ Gabriele Ribis
◊ 본 조(Bass)_ Manrico Signorini
◊ 무대디자인_ Pier Paolo Bisleri
◊ 의상디자인_ Chiara Barichello
◊ 조명디자인_ Iuraj Saleri
■ 주요 출연진 프로필
◐ 지휘자 : LORENZO FRATINI 로렌초 프라티니
그는 볼로냐, 페라라, 피렌체, 밀라노 국립 음악원을 졸업
하였으며 오케스트라 지휘는 G.Kunn, G.Gelmeti, P.Bellugi에게서
사사 받았다. 이탈리아의 주요 음악 페스티발인 피에솔라나
여름음악 페스티발, 루나티카 페스티발에서 오케스트라를 지휘했으며
Europa Cantat 국제 페스티발과 루카, 라벤나, 만토바, 피사,
리보르노 음악아카데미에서 주요 활동을 펼쳤다.
밀라노 베르디국립음악원에서 교수로 활동했으며 제노바 카를로 펠리체
극장의 지휘자를 역임했다. 2004년부터 그는 뜨리에스떼 베르디극장 재단의 지휘자를 역임 하고 있고 Miramare국립공원에서 카를 오르프의 Carmina Burana, Cividale의 Mittelfest에서 멘델스죤의
Sommernachtstraum, 하이든의 천지창조, 2007년 오페레타
페스티발을 지휘했고 최근 푸치니의 Messa di Gloria를 공연했다.
또한 2008년 Scugnizza 국제 오페레타 페스티발의 지휘자로 활동했다.
◐ 연출 : GIULIO CIABATTI 쥴리오 치아밧티
1999년 트리에스떼 베르디극장 재단을 위해 오페라 "Lucia di Lammermoor"를 연출했으 며 이 공연은 관객과 음악 평론가들로 하여 금 놀라운 호평을 자아내어 2003년 일본의 오사카와 도쿄에서 다시 공연되었다. 무대미술 의 거장 Yannis Kokkos와 함께 많은 공연을 했으며 그 업적으로는 팔레르모 Massimo극 장의 2006년 음악시즌을 개축하기위해 Szimanowsky의 "Re Ruggero"를 무대에 올 렸고 거장 마리아 칼라스 추모 30주년을 기 념하기위해 Epidauro의 고대 그리스 극장에 서 케루비니의 "Medea"를 연출했다. 또한 2007-2008년에는 거장 Daniela Mzzucato 와 함께 Poulenc의 "l’impegnativa prova de La voix humnaine"를 무대에 올렸다. 2009년 팔레르모의 Massimo극장에서 "아드리아나 르크브뢰르"를 연출할 것이다.
◐ Madama butterfly 役 : 소프라노 RAFFAELLA ANGELETTI 라파엘라 안젤렛티
◐ Madama butterfly 役 : 소프라노 Mina Taska Yamazaki 미나 타스카 야마자키 소프라노 미나 타스카는 이탈리아 지울리오 극장에서 <나비부인>쵸쵸상으로 데뷔하여 섬세한 발성과 뛰어난 표현력 보유, 드라마틱한 레퍼토리를 소화하고 있으며 <라 트라비아타> <라 보엠> <투란도트><일 트로바토레> <팔리아치> <안드레아 세니에> 등 다수의 오페라에 출연하였다. Teatro dell'Opera di Roma, La Fenice di Venezia, Il Teatro Bellas Artes di Città del Messico, il Festival Verano di Madrid등 세계적인 무대에서 공연하였으며 IL Festival di Peralada, Teatro dell'Opera di Helsiki, Festival di Salisburgo 등 페스티벌 출연, 로마극장 카라칼라 페스티벌에서 <투란도트> 공연하였다. 또한 2008 세종문화회관 세종대극장에서 서울시오페라단의 <라 트라비아타>의 비올렛타 역 으로 공연하여 호평 받은 바 있다.
◐ Pinkerton 役 : 테너 MARIO MALAGNINI 마리오 말라니니
마리오 말라니니는 밀라노 국립음악원 에서 공부하고 Pier Mirando Ferraro에게서 성악을 사사 받았다. Titto Gobbi 콩쿨, Belvedere 콩쿨, Enrico Caruso콩 쿨에서 1등을 차지했으며 런던 코벤트가 든 "나비부인", 파리 "카르멘", 도코 "아 이다" San Francesco Opera에서 "토스 카"를 공연했다. 또한 1990년 세계적인 지휘자 Claudio Abbado의 지휘로 비엔나 오페라 하우스에서 "돈 카를로", 1992년 Giuseppe Sinopli 지휘로 코펜하겐에서 비제의 오페라 "카르멘", 파리 Bercy에서 "아이다"를 공연하고 츄리히 Hallen 스타디움, 베를린 Sport Palace에서 "카르멘"을 공연했다. 1999년 베로나 아레나 원형극장에서 "베도바 알레그라(Vedova Allegra)" 콘테 다닐로역을 노래한 이후 매 시즌마다 시즌마다 공연하고 있다. 또한 플라시도 도밍고의 지휘로 카라칼라 야외극장에서 "아이다", Dency Grave와 함께 마드리드에서 "카르멘"을 공연했으며 2006/2007년 밀라노 스칼라좌 오페라시즌에서 "나비부인" "아드리아나 르크브뢰르" 를 Riccardo Chally 지휘로 공연했다.
◐ Pinkerton 役 : 테너 Roberto De Biasio 로베르토 데 비아시오
시칠리아 태생의 로베르토 비아시오는 Isola Borromee 국제콩쿨, Moncalieri의 가곡 유럽 콩쿨 등에서 우승하였다. Riccardo Frizza지 휘, Pier Luigi Pizzi연출로 Macerata 야외 원 형극장에서 "Maria Stuarda", Bruno Campanella 지휘로 Trieste Verdi 극장에서 "Roberto Devereux", Torino Nuovo 극장 Brighton페스티발 에서 "La Traviata" Parma왕 립극장에서 "Oberto conte di san Bonifacio" Pier Luigi Pizzi연출로 Piacenza 시립극장과 Modena 시립극장에서 토스카니니 재단을 위해 "Attila"를 공연했다. Karl Martin지휘, Giorgio Marini연출로 Venezia fenice극장에서 G.Petrassi의 "La morte dell’aria", Pordenone Verdi 극장에서 "La Bohème", 일본 쿄토 콘서트홀에서 "Madam Butterfly"100주년 기념 공연에서 공연했다. 2006년 Pavia시 "E lucean le stelle…" 리리코 가수상을 수상, 이후 Trieste Verdi극장에서 Donizetti "Devereux"의 Roberto. Puccini "La Bohème"의 Rodolfo로 공연했다.
'음악은 소설일까 > 오페라 공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명의 힘 - 세종문화회관(2009.11.19) 후기 (0) | 2009.11.23 |
---|---|
카르멘 공연 - 노보시비르스크 국립오페라단 (0) | 2009.11.06 |
투란도트 - 나폴리 산카를로 국립극장 초청 공연 (0) | 2009.10.19 |
베르디 운명의 힘(La Forza del destino) in 세종 (0) | 2009.08.25 |
서울시향의 라트라비아타 (0) | 2009.06.23 |